건설로봇 분야 기술동맹 첫 성과물

[더팩트|황준익 기자] 삼성물산과 현대건설이 건설 산업의 자동화 전환과 기술 적용 범위 확대에 속도를 낸다.
두 회사는 지난 3일 인천 청라 하나드림타운 현장에서 공동 개발한 스마트 자재 운반 로봇 기술 시연회를 개최하고 건설 현장 특화 로봇의 상용화 가능성과 실효성을 입증했다고 6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2023년 4월 양사가 체결한 '건설 로봇 분야 생태계 구축 및 공동 연구개발' 업무협약의 실질적 성과를 현장에서 처음으로 공개하는 자리다. 해당 협약은 시공 및 자재 운반 등 현장 중심의 건설 로봇 기술을 공동 개발하고 건설로봇 생태계 구축을 위한 첫 걸음으로 추진됐다.
시연회에서 선보인 운반 로봇은 건설 현장에서 단순히 반복하는 자재 운반 작업을 자동화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와 장애물을 인식해 안전 운행함으로써 안전성과 작업 효율을 동시에 확보했다.
여기에는 △3D 영상을 통한 팔레트 형상 및 피킹 홀 인식 기술 △SLAM(로봇이 센서를 통해 주변 환경을 실시간으로 인식하고 자신의 위치를 파악함과 동시에 지도를 생성하는 자율주행 핵심 기술) 기반의 자율주행 기술 △운반 작업 관리 및 로봇 관제 기술 △충전기 자동 도킹 기술 등이 탑재됐다.
특히 팔레트 자동 인식과 피킹 기능은 반복적이고 고중량인 자재 운반 작업의 정확도와 안전성을 크게 높인다. 자율주행 알고리즘과 장애물 인식 기능은 복잡한 현장 내에서도 효율적인 주행을 가능케 한다. 여기에 주행 경로, 장애물 위치 등을 실시간으로 시각화하는 원격 관제 시스템까지 더해져 다수 로봇이 동시에 운용되는 대형 현장에서도 통합 제어와 효율적 운영이 가능하다.
두 회사는 향후 수직 운반 기능과 복합 동선 대응이 가능한 로봇 기술로 개발 범위를 확대할 계획이다.
소병식 삼성물산 ENG혁신실장은 "자재 운반 로봇은 건설사 간 최초로 이루어진 공동 연구 개발의 성과이자 생태계 조성의 출발점"이라며 "AI와 디지털 트윈 기반의 산업 디지털 전환 속에서 건설 현장 무인화를 위해 로봇 기술을 선제적으로 개발·운영하며 미래 경쟁력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김재영 현대건설 기술연구원장은 "건설 자동화 기술의 실효성을 높이는 한편 스마트건설 생태계 전반의 기술 연계와 고도화를 통해 현장 중심의 로보틱스 솔루션을 지속 개발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plusik@tf.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