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음식점 30% 키오스크 도입…대체인력 효과는?


한국고용정보원 '음식점 키오스크 아르바이트생 대체할까'
음식점주, 업무상 0.5명·인건비 1명 대체 효과 평가


서울에 있는 음식점 10곳 중 3곳이 인건비 절감을 위해 키오스크를 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더팩트DB 서울에 있는 음식점 10곳 중 3곳이 인건비 절감을 위해 키오스크를 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더팩트DB

[더팩트ㅣ세종=박은평 기자] 서울에 있는 음식점 10곳 중 3곳이 인건비 절감을 위해 키오스크를 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음식점주들은 실제 인력대체 효과는 '0.5'이라고 판단했다.

11일 한국고용정보원이 발간한 '지역산업과 고용'에 실린 '음식점의 키오스크는 아르바이트생을 대체할까' 보고서에 따르면 서울 음식점의 키오스크 도입률은 30.3%로 조사됐다.


서울 내에 있는 2000개 음식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키오스크를 도입한 곳은 605개(30.25%)였다. 평균 1.2대의 키오스크를 보유하고 있었다.

키오스크를 도입한 이유로는 55.0%가 '인건비 절감'을 꼽았다. 이어 '매출 확인 및 현금 매출 누락방지(정확한 매출 정산)' 16.5%, '고객의 대기시간 감소' 13.7% 순이었다.

대면 주문 비중은 2018년 89%에서 2023년 56.5%로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비대면 주문은 지속해서 확대되고 있다. 키오스크 주문은 2018년 2.3%에서 2023년 24.2%까지 증가했다. 태블릿 주문기도 2018년 0%에서 2023년 4.4%로 늘었다.

키오스크 도입에 따른 인력대체 가능성에 대해 좌담회를 통해 물어본 결과 키오스크 제조업체는 키오스크 1대가 업무상 1명, 비용면에서 1.5∼2명을 대체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반면 음식점주들은 디지털 기기가 1명의 인력을 대체하기 어렵다고 봤다. 구인난이 심각해 어쩔 수 없이 키오스크를 이용하고 있으며 키오스크 같은 디지털기기를 도입할 때 인력 대체 효과를 기대하기보다는 직원들의 업무강도를 낮춰주는 보조적 역할로 판단하고 있었다.

키오스크 1대가 업무상으로는 0.5명, 인건비 면에서는 1명 정도의 대체 효과가 있다고 봤다.

키오스크 도입·미도입 음식점의 고용량 추세를 비교한 결과 키오스크 도입이 고용 감소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입하지 않은 곳은 2023년에 2018,2019년과 유사한 수준의 고용량을 회복한 반면, 키오스크를 도입한 곳은 2023년에 도입 이전 만큼의 고용량을 회복하지 못했다.

보고서는 "계산원, 서비원, 설거지 등 단순 반복적이고 규칙적인 일은 디지털 전환으로 대체될 가능성이 큰 직업군"이라며 설명했다. 이어 "해당 근로자들이 다른 업종으로 원활히 전직할 수 있도록 지원 정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며 "인구 구조 변화에 따라 사회복지·요양 분야 같이 인력 수요가 급증하는 산업이나 지역명소 해설사·가사도우미 등 저학력·저경력자도 적절한 지원과 준비를 통해 진입이 가능한 직종으로 전환을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pepe@tf.co.kr

  • 추천 8
  • 댓글 8


 

회사 소개 | 서비스 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의견보내기 | 제휴&광고

사업자 : (주)더팩트|대표 : 김상규
통신판매업신고 : 2006-01232|사업자등록번호 : 104-81-76081
주소 : 서울시 마포구 성암로 189 20층 (상암동,중소기업DMC타워)
fannstar@tf.co.kr|고객센터 02-3151-9425

Copyright@팬앤스타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