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폐현수막 100% 재활용 원년"
시의회 '친환경 현수막' 지원조례 마련

[더팩트ㅣ설상미 기자] 선거가 끝난 뒤 전국 곳곳에 쌓이는 폐현수막이 해마다 수천 톤에 이르지만, 재활용률은 30%에 못 미친다. 환경 오염 주범으로 지목되는 폐현수막 문제 해결을 위해 서울시가 선제 대응에 나섰다. 전국 최초로 전용 집하장을 설치하고 재활용 체계를 구축하는 한편, 시의회는 친환경 현수막 사용을 뒷받침할 제도 마련에 나서고 있다.
9일 환경부와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2024년 제22대 총선 이후 발생한 폐현수막이 2574톤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재활용된 양은 769톤으로, 재활용률은 29.9%에 불과했다.

과거 선거에서도 상황은 크게 다르지 않았다. 2022년 지방선거에선 1557톤의 폐현수막이 발생했지만 재활용률은 24.8%였고, 같은 해 대선에선 1110톤 중 24.5%만 재활용됐다. 2020년 21대 총선 때는 1739톤의 현수막이 배출됐으나 재활용률은 23.5%에 그쳤다.
현수막은 대부분 폴리에스터(PET) 계열의 합성수지로 만들어지고, 표면에는 강한 잉크가 인쇄돼 이염 문제가 발생해 재활용이 쉽지 않다.
이 때문에 현수막은 보통 소각이나 매립 방식으로 처리되며 환경 부담도 크다. 예컨대 10㎡ 크기의 현수막 한 장을 제작하고 소각하는 과정에서 약 4kg의 이산화탄소가 발생하는데, 이는 승용차가 약 20km를 주행할 때 배출하는 탄소량과 비슷하다. 현수막 1만 장을 소각하면 차량으로 20만km를 주행할 때 나오는 수준의 온실가스를 배출하게 되는 셈이다.

◆ 서울시, 폐현수막 전용 집하장 설치…시의회 '친환경 소재 현수막' 확대 움직임
지속적인 환경 부담에도 재활용률이 낮은 현실 속에서, 서울시는 대선을 앞두고 폐현수막 문제에 선제 대응에 나섰다.
시는 전국 최초로 성동구 용답동 중랑물재생센터 내에 약 220㎡ 규모의 폐현수막 전용 집하장을 설치하고, 체계적인 재활용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그동안 폐현수막은 각 자치구가 자체적으로 수거·처리해 왔으나, 보관 공간 부족 등으로 상당수가 소각 처리되는 등 재활용에 한계가 있었다.
이번 집하장 설치로 서울시는 △폐현수막 발생 현황 정비 △자치구 보관 공간 부족 문제 해소 △대량 처리로 단가 절감 △재활용 방식 다양화 등을 추진할 방침이다. 시는 자치구에서 수거된 폐현수막을 집결·선별하는 한편 재활용 거점으로도 집하장을 활용한다.
권민 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은 "올해를 폐현수막 100% 재활용 원년으로 삼고, 시가 주도하고 자치구가 협력하고 민간이 참여하는 3자 거버넌스 기반의 정책을 마련했다"며, "서울시는 앞으로도 자치구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단순 행정 차원을 넘어 도시 전체의 자원 선순환 생태계를 조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친환경 소재 현수막의 사용을 확대하려는 움직임은 입법 차원에서도 이어지고 있다. 지난달 28일 서울시의시의회에서는 지난달 28일 이상욱 의원(국민의힘, 비례)이 발의한 '서울특별시 옥외광고물 등의 관리와 옥외광고산업 진흥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이 본회의를 통과했다.
친환경 소재 현수막은 생분해성 원료를 사용하거나 재활용이 용이한 재질로 제작돼 환경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이번 개정안은 친환경 소재 현수막 사용 촉진을 위한 행정적, 재정적 지원 내용이 담겼다.
이 의원은 "환경 보호와 자원 순환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서울시는 친환경 현수막 사용 확대와 폐현수막 재활용 활성화에 앞장서야 한다"며 "앞으로도 지속 가능한 서울을 만들기 위해 관련 정책을 마련하고 실천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